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2월 7일/내가 목을 벤 그 요한이 되살아났구나.

그리스도향기

by 로킴 2025. 2. 7. 07:30

본문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2월 7일/

내가 목을 벤 그 요한이 되살아났구나.

연중 제4주간 금요일
✠ 마르코복음.6,14-29
그때에 14 예수님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마침내 헤로데 임금도 소문을 듣게 되었다.
사람들은 “세례자 요한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난 것이다. 그러니 그에게서 그런 기적의 힘이 일어나지.” 하고 말하였다.
15 그러나 어떤 이들은 “그는 엘리야다.” 하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은 “옛 예언자들과 같은 예언자다.” 하였다.
16 헤로데는 이러한 소문을 듣고, “내가 목을 벤 그 요한이 되살아났구나.” 하고 말하였다.
17 이 헤로데는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붙잡아 감옥에 묶어 둔 일이 있었다. 그의 동생 필리포스의 아내 헤로디아 때문이었는데, 헤로데가 이 여자와 혼인하였던 것이다.
18 그래서 요한은 헤로데에게, “동생의 아내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하고 여러 차례 말하였다.
19 헤로디아는 요한에게 앙심을 품고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20 헤로데가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그를 두려워하며 보호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말을 들을 때에 몹시 당황해하면서도 기꺼이 듣곤 하였기 때문이다.
21 그런데 좋은 기회가 왔다. 헤로데가 자기 생일에 고관들과 무관들과 갈릴래아의 유지들을 청하여 잔치를 베풀었다.
22 그 자리에 헤로디아의 딸이 들어가 춤을 추어, 헤로데와 그의 손님들을 즐겁게 하였다. 그래서 임금은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나에게 청하여라. 너에게 주겠다.” 하고 말할 뿐만 아니라,
23 “네가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 내 왕국의 절반이라도 너에게 주겠다.” 하고 굳게 맹세까지 하였다.
24 소녀가 나가서 자기 어머니에게 “무엇을 청할까요?” 하자, 그 여자는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여라.” 하고 일렀다.
25 소녀는 곧 서둘러 임금에게 가서,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 저에게 주시기를 바랍니다.” 하고 청하였다.
26 임금은 몹시 괴로웠지만, 맹세까지 하였고 또 손님들 앞이라 그의 청을 물리치고 싶지 않았다.
27 그래서 임금은 곧 경비병을 보내며,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령하였다. 경비병이 물러가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어,
28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주자,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에게 주었다.
29 그 뒤에 요한의 제자들이 소문을 듣고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무덤에 모셨다.


어느 연인이 데이트 중이었습니다. 식사 때가 되어, 여자 친구가 남자 친구에게 “우리 파스타 먹으러 갈까?”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남자 친구는 “나는 파스타 정말 싫어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 순간 여자 친구는 남자 친구가 싫어지더라는 것입니다.


자기 싫은 것을 충분히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말이란 묘해서 자기가 이야기한 것을 상대방이 싫다고 하면, 그렇게 말하는 사람도 싫어지는 법입니다. 저 역시 싫은 것은 곧바로 말하는 스타일임을 반성합니다. 사실 더 잘 말할 수 있었습니다. 앞서 말한 남자 친구의 경우를 볼 때, “우리 분위기 좋은 레스토랑 갈까?”라고 말할 수도 있고, “일식은 어때?”라고 말할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부정적 감정이 담긴 말을 쓰게 되면서, 관계를 무너뜨립니다.


부정적 감정은 전투할 때의 감정이라 에너지 소비가 많습니다. 그에 반해서 긍정적 감정은 평화로울 때의 감정이라 에너지 소비도 거의 들지 않고 부담도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자기를 위해서도 부정적 감정을 내려놓고 긍정적 감정을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싫어’를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은 자기를 싫어할 사람을 불러들이는 사람이고, ‘좋아’를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은 자기를 좋아할 사람을 불러들이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자기 말과 행동이 결국 자기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이가 자기가 듣고 싶은 말만, 또 자기가 보고 싶은 행동만을 원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이 담긴 말과 행동을 너무 쉽게 합니다. 이 결과는 상대로부터 똑같이 부정적인 감정과 담긴 말과 행동을 받게 될 것입니다. 힘든 삶의 연속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상대를 수용할 수 있는 겸손의 마음이 필요합니다. 겸손의 마음이 긍정적 감정을 만들어 행복의 삶으로 인도해 줄 것입니다.


헤로데 임금은 자기 본부인과 이혼하고, 자기 동생 필리포스의 아내 헤로디아와 결혼합니다. 그 결과는 본부인의 아버지인 나바태아 임금이 분노하여 전쟁이 일어납니다. 유다 전 지역이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는 것입니다. 임금 한 사람의 잘못이 많은 이를 고통 속으로 밀어 넣은 것입니다.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한 결과입니다.


세례자 요한은 이렇게 될 것을 알고서 혼인해서는 안 된다고 간곡히 말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를 감옥에 가둡니다. 그리고 자기 생일날, 헤로디아 딸의 춤값으로 세례자 요한의 목을 베어 줍니다. 헤로디아 딸의 춤은 보고 싶었던 것이고, 세례자 요한의 말은 듣기 싫었던 것이지요. 실제로 그는 나바태아와의 전쟁에서 패한 후 임금에서 쫓겨나 유배지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겸손의 마음이 필요합니다. 내가 듣고 싶은 말과 보고 싶은 행동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긍정적 마음을 전해줄 수 있는 겸손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야 함께 기쁨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오늘의 명언: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최고의 기회, 지혜가 숨겨져 있다. 실패란 없다. 다만 미래로 이어지는 과정일 뿐이다(앤서리 라빈스).


 
사진설명: 살로메의 춤과 세례자 요한의 죽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