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4월 4일/
그들은 예수님을 잡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분의 때가 아직 오지 않았다.
사순 제4주간 금요일 |
✠ 요한복음.7,1-2.10.25-30 그때에 1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를 돌아다니셨다. 유다인들이 당신을 죽이려고 하였으므로, 유다에서는 돌아다니기를 원하지 않으셨던 것이다. 2 마침 유다인들의 초막절이 가까웠다. 10 형제들이 축제를 지내러 올라가고 난 뒤에 예수님께서도 올라가셨다. 그러나 드러나지 않게 남몰래 올라가셨다. 25 예루살렘 주민들 가운데 몇 사람이 말하였다. “그들이 죽이려고 하는 이가 저 사람 아닙니까? 26 그런데 보십시오. 저 사람이 드러내 놓고 이야기하는데 그들은 아무 말도 하지 못합니다. 최고 의회 의원들이 정말 저 사람을 메시아로 알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27 그러나 메시아께서 오실 때에는 그분이 어디에서 오시는지 아무도 알지 못할 터인데, 우리는 저 사람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고 있지 않습니까?” 28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성전에서 가르치시며 큰 소리로 말씀하셨다. “너희는 나를 알고 또 내가 어디에서 왔는지도 알고 있다. 그러나 나는 나 스스로 온 것이 아니다. 나를 보내신 분은 참되신데 너희는 그분을 알지 못한다. 29 나는 그분을 안다. 내가 그분에게서 왔고 그분께서 나를 보내셨기 때문이다.” 30 그러자 그들은 예수님을 잡으려고 하였지만, 그분께 손을 대는 자는 아무도 없었다. 그분의 때가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길도 험하고 날씨도 안 좋은 날에 두 명이 달리기 시합을 하면 어떤 사람이 이길까요? 여러 가지 답이 나올 수 있습니다. 더 빠른 사람이 이긴다고 말할 수 있고, 더 건강한 사람이 이긴다고 대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의 답은 이러했습니다. “더 긍정적인 사람.” 더 긍정적인 사람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크게 타격받지 않고 웃으며 달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길 수 있고 또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긍정의 생각을 하는 사람은 포기하는 사람이 아니고, 또 될 대로 되라는 마음으로 살지도 않습니다. 자기의 한 걸음, 한 걸음에 기쁨을 담으면서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는 사람입니다. 이런 사람이 최종 결승선에 웃으며 들어올 것입니다. 주님을 믿는 사람은 믿지 않는 사람보다 더 긍정적인 사람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가장 힘이 센 전지전능하신 분께서 함께해 주심을 굳게 믿기 때문입니다.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발견하게 되고, 포기하고 싶을 때도 웃으며 다시 한 발을 내딛게 됩니다. 분노와 원망이 생겨나는 순간에도 주님의 사랑을 기억하며 사랑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하느님 나라라는 결승선에서 이기는 사람은 과연 누가 될까요? 이스라엘 사람들은 예수님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자기들이 믿고 따랐던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이 예수님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고, 그래서 죽이려고까지 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예수님께서 당신의 신원에 대해 말씀하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오늘 복음에서도 예수님께서는 아무 거리낌 없이 이야기하시지 않습니까? 최고 의회 의원들은 예수님을 잡으려고 하지만, 손도 대지 못합니다. 그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은 예수님을 따르는 군중이 두렵고, 자신들이 하려는 일에 대해 확신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하느님의 일이 아닌 사람의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삶 안에서 이루어지는 하느님의 일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세상의 일은 부정적인 생각이 가득합니다. 두려움과 불안으로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하게 합니다. 그때 주님의 모습을 기억해야 합니다. 죽음의 위험에서도 하느님의 일을 하기에 두려움 없이 말씀하시는 모습을 말입니다. 주님께 대한 굳은 믿음이 부족한 우리입니다. 그래서 계속 불안하고 두려워합니다.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주저합니다. 주님을 바라봐야 합니다. 과거 성인 성녀들이 보여주셨던, 어떤 순간에서도 잃지 않았던 긍정의 마음을 간직한다면 우리 역시 힘차게 하느님 나라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오늘의 명언: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힘든 날에도 정신을 차리고 행복해지는 것이다(심페웨 은툴리). 사진설명: 그들은 예수님을 잡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분의 때가 아직 오지 않았다. |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4월 5일/메시아가 갈릴래아에서 나올 리가 없지 않은가? (0) | 2025.04.05 |
---|---|
4월 5일 성인 축일 축하합니다^*^ (0) | 2025.04.04 |
4월 4일 성인 축일 축하합니다^*^ (0) | 2025.04.03 |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4월 3일/너희를 고소하는 이는 너희가 희망을 걸어 온 모세이다. (0) | 2025.04.03 |
4월 3일 성인 축일 축하합니다^*^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