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9일 성녀 마르타 기념일 / 남이 하는 행동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맙시다.
제1독서 요한1서 4,7-16
사랑하는 여러분에게 당부합니다. 우리는 서로 사랑합시다. 사랑은 하느님께로
부터 오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나 하느님께로부터 났으며 하느님을
압니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을 알지 못합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당신의 외아들을 이 세상에 보내 주셔서 우리는 그분을 통해서 생명
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가운데 분명히 나타났
습니다.
내가 말하는 사랑은 하느님에게 대한 우리의 사랑이 아니라 우리에게 대한 하느
님의 사랑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아들을 보내셔서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
시려고 제물로 삼으시기까지 하셨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명심하십시오. 하느님께서 이렇게까지 우리를 사랑해 주셨으
니 우리도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아직까지 하느님을 본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
나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면 하느님께서는 우리 안에 계시고 또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안에서 이미 완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당신의 성령을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느님 안에
있고 또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계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버지께
서 당신의 아들을 구세주로 보내신 것을 보았고 또 증언하고 있습니다.
누구든지 예수께서 하느님의 아들이시라는 것을 인정하면 하느님께서 그 사람
안에 계시고 그 사람도 하느님 안에 있습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베
푸시는 사랑을 알고 또 믿습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사랑 안에 있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 있으며 하느님께서
는 그 사람 안에 계십니다.
복음 요한 11,19-27
그때에 많은 유다인들이 오빠의 죽음을 슬퍼하고 있는 마르타와 마리아를 위로
하러 와 있었다. 예수께서 오신다는 소식을 듣고 마르타는 마중을 나갔다. 그
동안 마리아는 집 안에 있었다.
마르타는 예수께 이렇게 말하였다. “주님, 주님께서 여기에 계셨더라면 제 오
빠는 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이라도 주님께서 구하시기만 하면 무엇
이든지 하느님께서 다 이루어 주실 줄 압니다.”
“네 오빠는 다시 살아날 것이다.” 예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마르타는
“마지막 날 부활 때에 다시 살아나리라는 것은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고 말
하였다. 예수께서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사람은 죽더라도 살겠고 또 살아서 믿는
사람은 영원히 죽지 않을 것이다. 너는 이것을 믿느냐?” 하고 물으셨
다.
마르타는 “예, 주님, 주님께서는 이 세상에 오시기로 약속된 그리스도이시며
하느님의 아드님이신 것을 믿습니다.”하고 대답하였다.
......................................................................................
요즘 성지에서 제가 눈여겨보고 있는 나무가 한그루 있습니다. 그 나무의 이름
은 복숭아나무로, 현재 많은 복숭아가 주렁주렁 달려 있지요. 특히 작년에 그곳
에서 딴 복숭아의 맛이 너무나도 좋았기 때문에 올해 역시 큰 기대와 함께 복숭
아가 빨리 익기만을 바라고 있습니다. 그런데 작년에는 8개만 달린 것에 비해
서, 올해는 꽤 많은 복숭아들이 나무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순례 오신
분들이 그 달려 있는 복숭아를 직접 따서 드시기도 하더군요.
물론 복숭아를 따서 드시는 것 자체는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저 혼자 그 많
은 복숭아를 다 먹지도 못 할 테니까요). 그러나 문제는 복숭아를 따기 위해서
주변을 훼손시킨다는 것입니다. 사실 복숭아는 따기 쉬운 곳에 있는 것이 아니
라, 경사면에 놓여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사람들은 복숭아나무 가지를 잡아 당
겨서 열매를 따기도 하고, 어떤 분들은 나뭇가지를 통째로 잘라서 복숭아를 따
드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런 모습을 보면 괜히 화가 납니다. 그래서 그 근처에 사람들이 가기만 하면
긴장을 하면서 바라봅니다. 그리고 꼭 그들에게 말하지요.
“성지 안에 나무열매는 함부로 따 드시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사람들에게 계속 말하다보니, 복숭아의 숫자가 꽤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제 우연히 복숭아가 잘 익었나 하고 보는 순간, 깜짝 놀랐습니다. 글쎄 많이
달려 있는 복숭아 중에서 멀쩡한 것은 단 한 개도 없었습니다. 벌레가 복숭아들
을 반 이상을 먹어 치웠더군요. 하긴 약을 단 한 번도 친 적이 없었으니 벌레가
이렇게 끼는 것도 당연하겠지요. 그 많은 벌레로 먹지 못하는 복숭아들을 보면
서 이런 후회가 되었습니다.
‘그냥 순례객들이 따 드시게 할 걸…….’
복숭아나무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사람들에게 과일이라는 이름으로
먹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저는 나무가 상한다는 이유로 복숭아나무의 존재 이유
를 빼앗고 있었던 것이지요. 그리고 결국 이렇게 후회하고 있습니다.
오늘 복음을 보면, 예수님께서 친한 친구 라자로의 죽음 소식을 듣고 찾아갑니
다. 하지만 다른 모든 사람들은 예수님을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친했다
면 죽기 전에 와서 병을 고쳐줘야 하는데, 이미 죽었으니 늦었다는 것이지요.
그런 상황에서도 라자로의 동생인 마르타는 예수님을 기쁘게 받아들입니다. 그
리고 말합니다.
“주님께서는 그리스도이시며 하느님의 아들이심을 믿습니다.”
그 믿음으로 인해, 라자로의 존재가 다시 이 세상에 드러납니다. 세상 사람들
의 예수님 부정으로 인해 라자로가 다시 존재하지 않을 뻔 했다가 마르타를 통
해서 새롭게 다시 태어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나의 섣부른 판단으로 다른 사람의 그 존재 이유를 막아버리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던지요? 꿈을 펼쳐야 하는 아이들의 꿈을 어른들의 욕심으로 짓밟습니다.
부부간에도 서로에 대해 무시하는 말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경우가 또 얼
마나 많습니까?
이렇게 가까운 가족뿐만이 아니지요.이 세상 안에서 그렇게 존재 이유를 막아
버리는 경우는 더 쉽게 발견됩니다. ‘나는 옳고 너는 틀리다’라는 생각. 이
러한 생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존재 이유를 거부했었는지요?
따라서 이제는 이런 나의 모습을 버려야 합니다. ‘나만 옳다’라는 생각에서,
‘너도 옳다’라는 생각으로 변화되어야 합니다. 그때서야 다른 이들의 존재
살리는 주님의 일에 함께 동참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남이 하는 행동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맙시다.
.....................................................................................
가치 있는 수고
유명한 영국 사상가 가운데 토마스 칼라일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의 평생 소원
은 '불란서 혁명사'라는 책을 쓰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자기가 쓴 책을 통하여
유럽 땅에서 더 이상 피비린내 나는 전쟁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고 인간다운
민주주의와 건강한 국민의 문화가 꽃피우기를 원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정성을
다해 거의 10년에 걸쳐 원고를 썼습니다.
그리고 완성하기 전 절친한 친구이자 철학자였던 존 스튜어트 밀에게 마지막으
로 원고의 검토를 맡겼습니다. 스튜어트 밀은 서재에서 친구가 보낸 원고를 검
토하다가 너무 피곤해서 그대로 침대로 가 잠이 듭니다. 그런데 다음날 아침 그
집 하녀가 서재를 청소하다가 방에 흐트러져있는 원고지를 보고 쓰레기인 줄 알
고 한꺼번에 집어서 불 속에 넣었습니다. 토마스 칼라일의 그 길고 긴 노력과
수고는 한순간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그는 낙담한 채 서너 달 동안 자는 것과
먹는 것조차 하지 않고 고민에 빠졌으며 생의 의욕조차 완전히 잃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어느 비오는 날 그가 하염없이 창 밖을 바라보고 있을 때였습니다. 비가
서서히 그치자 자기의 집 앞에 새집을 짓는 일꾼들이 하나둘 나타났습니다. 그
들은 터를 닦고 줄을 놓은 후 벽돌을 하나하나 쌓았습니다. 그러다 벽돌이 조금
이라도 맞지 않으면 다시 허물고 다시 쌓고 하였습니다. 허물고 쌓는 일을 반복
하면서 차근차근 벽돌을 쌓는 그 광경을 보던 토마스 칼라일은 무릎을 쳤습니다.
"한 채의 집을 짓기 위해서도 저토록 정성스러운 노력과 정성이 필요한데 유럽
의 역사를 다시 일으켜 세우기 위한 일에 내가 다시 땀을 흘리지 못할 이유가
어디 있을까?"
그는 다시 원고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가치 있는 일에는 가치 있는 도전이 필요
합니다.
빠다킹신부의 새벽을 열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