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진사는 무골호인(無骨好人)이다. 한평생 살아오며 남의 가슴에 못 한번 박은 적이 없고, 적선 쌓은 걸 펼쳐 놓으면 아마도 만경창파 같은 들판을 덮고도 남으리라. 그러다 보니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그 많던 재산을 야금야금 팔아치워 겨우 제 식구들 굶기지 않을 정도의 중농 집안이 되었다.
정 진사는 덕(德)만 쌓은 것이 아니라 재(才)도 빼어났다. 학문이 깊고, 붓을 잡고 휘갈기는 휘호는 천하 명필이다. 고을 사또도 조정으로 보내는 서찰을 쓸 때는 이방을 보낼 정도였다. 정 진사네 사랑방엔 선비와 문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부인과 혼기 찬 딸 둘은 허구한 날 밥상, 술상을 차려 사랑방에 들락날락하는 게 일과다.
어느 날, 오랜만에 허법 스님이 찾아왔다. 잊을만하면 정 진사를 찾아와 고담준론(뜻이 높고 바르며 엄숙하고 날카로운 말)을 나누고 바람처럼 사라지는 허법 스님을 정 진사는 스승처럼 대한다. 그날도 사랑방엔 문사들이 가득 차 스님이 처마 끝 디딤돌에 앉아 기다리자 손님들이 눈치채고 우르르 몰려 나갔다.
허법 스님과 정 진사가 곡차상을 가운데 두고 마주 앉았다.
“정 진사는 친구가 도대체 몇이나 되오?”
스님이 묻자 진사는 천장을 보고 한참 생각하더니 자랑스럽게 말했다.
“얼추 일흔은 넘을 것 같습니다.”
스님은 혀를 끌끌 찼다.
“진사는 참으로 불쌍한 사람이오.”
정 진사가 눈을 크게 뜨고 문을 활짝 열더니 말했다.
“스님, 한눈 가득 펼쳐진 저 들판을 모두 남의 손에 넘기고 친구 일흔을 샀습니다.”
스님은 껄껄 웃더니 “친구란 하나 아니면 둘, 많아야 셋, 그 이상이면 친구가 아닐세.”
두 사람은 밤새도록 곡차를 마시다가 삼경(밤 11시부터 새벽 1시 사이)이 지나 고꾸라졌다. 진사가 눈을 떴을 때 스님은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다음날부터 정 진사네 대문이 굳게 닫혔다. 집안에서는 심한 기침소리가 들리고 의원만 들락거려 글 친구들이 대문 앞에서 발길을 돌렸다. 열흘이 가고 보름이 가도 진사네 대문은 열릴 줄 몰랐다. 그러더니 때아닌 늦가을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날 밤에 곡(哭) 소리가 터졌다. 진사가 지독한 고뿔을 이기지 못하고 이승을 하직한 것이다.
빈소는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부인과 딸 둘이 상복을 입고, 머리를 떨어뜨린 채 침통하게 빈소를 지켰다. 진사 생전에 문지방이 닳도록 드나들던 글 친구들은 낯짝도 안 보였다. 그런데 한 친구가 문상을 와 섧게 섧게 곡을 하더니 진사 부인을 살짝이 불러냈다.
“부인, 상중에 이런 말을 꺼내 송구스럽지만 워낙 급한 일이라….”
그 친구는 품속에서 봉투 하나를 꺼내어 미망인에게 건넸다. 봉투를 열어보니 차용증이다. 정 진사가 돈 백 냥을 빌리고 입동 전에 갚겠다는 내용으로, 진사의 낙관까지 찍혀 있었다. 또 한 사람의 문상객은 왕희지 족자 값 삼백 냥을 못 받았다며 지불각서를 디밀었다. 구일장을 치르는데 여드레째가 되니 이런 채권자들이 빈소를 가득 채웠다.
“내 돈을 떼먹고선 출상(出喪)도 못해!”
“이 사람이 빚도 안 갚고 저승으로 줄행랑을 치면 어떡해.”
빈소에 죽치고 앉아 다그치는 글 친구들 면면은 모두 낯익었다. 그때 허법 스님이 목탁을 두드리며 빈소에 들어섰다. 미망인이 한 뭉치 쥐고 있는 빛 문서를 낚아챈 스님은 병풍을 향해 고함쳤다.
“정 진사! 일어나서 문전옥답을 던지고 산, 잘난 당신 글 친구들에게 빚이나 갚으시오~.”
병풍 뒤에서 ‘삐거덕’ 관 뚜껑 열리는 소리가 나더니 정 진사가 걸어 나왔다. 빚쟁이 친구들은 혼비백산해 신도 신지 않은 채 도망쳤다. 정 진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허법 스님은 빚문서 뭉치를 들고 사또에게 찾아갔다.
이튿날부터 사또의 호출장을 받은 진사의 글 친구 빚쟁이들이 하나씩 벌벌 떨면서 동헌 뜰에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