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3월 21일/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자.

그리스도향기

by 로킴 2025. 3. 21. 07:23

본문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3월 21일/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자.

사순 제2주간 금요일
✠ 마태오복음.21,33-43.45-46
그때에 예수님께서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말씀하셨다.
33 “다른 비유를 들어 보아라. 어떤 밭 임자가 ‘포도밭을 일구어 울타리를 둘러치고 포도 확을 파고 탑을 세웠다.’ 그리고 소작인들에게 내주고 멀리 떠났다.
34 포도 철이 가까워지자 그는 자기 몫의 소출을 받아 오라고 소작인들에게 종들을 보냈다.
35 그런데 소작인들은 그들을 붙잡아 하나는 매질하고 하나는 죽이고 하나는 돌을 던져 죽이기까지 하였다.
36 주인이 다시 처음보다 더 많은 종을 보냈지만, 소작인들은 그들에게도 같은 짓을 하였다.
37 주인은 마침내 ‘내 아들이야 존중해 주겠지.’ 하며 그들에게 아들을 보냈다.
38 그러나 소작인들은 아들을 보자,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고 우리가 그의 상속 재산을 차지하자.’ 하고 저희끼리 말하면서,
39 그를 붙잡아 포도밭 밖으로 던져 죽여 버렸다.
40 그러니 포도밭 주인이 와서 그 소작인들을 어떻게 하겠느냐?”
41 “그렇게 악한 자들은 가차 없이 없애 버리고, 제때에 소출을 바치는 다른 소작인들에게 포도밭을 내줄 것입니다.” 하고 그들이 대답하자,
42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성경에서 이 말씀을 읽어 본 적이 없느냐? ‘집 짓는 이들이 내버린 돌,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네. 이는 주님께서 이루신 일, 우리 눈에 놀랍기만 하네.’

4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하느님께서는 너희에게서 하느님의 나라를 빼앗아, 그 소출을 내는 민족에게 주실 것이다.”
45 수석 사제들과 바리사이들은 이 비유들을 듣고서 자기들을 두고 하신 말씀인 것을 알아차리고,
46 그분을 붙잡으려고 하였으나 군중이 두려웠다. 군중이 예수님을 예언자로 여겼기 때문이다.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를 잘 아실 것입니다. 1726년 18세기의 작품으로, 의사 걸리버가 선박 의사로 취직해서 세계를 돌아다니며, 작은 사람들이 사는 나라, 큰 사람들이 사는 나라, 날아다니는 섬의 나라 등을 방문하게 되는 기행문 형식의 소실입니다.


저의 경우, 이 책을 어렸을 때 동화책으로 읽었습니다. 그렇다면 걸리버 여행기는 어린이들이 읽는 동화일까요? 사실 원본은 신랄한 성인용 풍자였습니다. 당대의 정치 상황을 비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풍자는 시간이 지나가면서 사람들이 잘 이해하지 못해 사라졌고, 대신 어린아이도 읽을 수 있는 소설이 된 것입니다. 고전화가 이루어졌고, 세계적인 독자층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당시에, 저자 조너선 스위프트도 상상하지 못할 일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우리는 쉽게 단정 지을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될 것이다.’, ‘이것밖에 안 된다.’ 식의 한계를 만들고 그 안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하느님 뜻에 맞게 사는 것이 아니라, 세상 뜻에만 맞게 살아가려 합니다. 욕심과 이기심이 가득한 세상이라서 그렇게 살아야 지혜로운 사람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오랫동안 냉담 중인 분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신부님, 먹고 사는 것이 더 중요하지요.”


단정 짓는 자기 생각이 맞다고 이렇게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만약 이 세상에서 영원히 살 수 있다면 먹고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느님 나라에서만 영원히 살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면 무엇이 더 중요한 것일까요?


예수님께서는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포도밭 소작인의 비유 말씀을 해 주십니다. 포도밭을 일구고 울타리를 치고 포도 확을 파고 탑을 세운 사람은 하느님을 가리킵니다. 이렇게 포도밭을 일구시고 이를 소작인들에게 맡기시지요. 이 소작인은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을 가리키며, 동시에 하느님의 뜻을 따르지 않았던 이들을 나타냅니다.


자기 욕심과 이기심 때문에, 주인이 보낸 종들을 매질하고 죽입니다. 주인이 아들까지 보내지만, 포도밭을 차지할 생각으로 죽여 버립니다. 바로 예언자들을 향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배척과 예수님에 대한 배척을 보여줍니다. 그 모든 것이 세상의 논리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의 못된 모습이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묵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순간의 만족보다는 영원한 만족을 추구해야 하고, 세상의 뜻보다는 하느님의 뜻 안에 머물 수 있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때 상상도 못 할 그분의 힘 속에서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는 ‘나’를 만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하느님 나라의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의 명언: 인생에서 여러 번 낙담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건 실패가 아니다. 다른 사람 탓을 하고 모든 시도를 멈추는 순간이 바로 실패다(존 버로우).


 
사진설명: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