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3월 30일/너의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

그리스도향기

by 로킴 2025. 3. 30. 11:04

본문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25년 3월 30일/

너의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

사순 제4주일
✠ 루카복음.15,1-3.11ㄴ-32
그때에 1 세리들과 죄인들이 모두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가까이 모여들고 있었다.
2 그러자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저 사람은 죄인들을 받아들이고 또 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군.” 하고 투덜거렸다.
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 비유를 말씀하셨다.
11 “어떤 사람에게 아들이 둘 있었다.
12 그런데 작은아들이, ‘아버지, 재산 가운데에서 저에게 돌아올 몫을 주십시오.’ 하고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그래서 아버지는 아들들에게 가산을 나누어 주었다.
13 며칠 뒤에 작은아들은 자기 것을 모두 챙겨서 먼 고장으로 떠났다. 그러고는 그곳에서 방종한 생활을 하며 자기 재산을 허비하였다.
14 모든 것을 탕진하였을 즈음 그 고장에 심한 기근이 들어, 그가 곤궁에 허덕이기 시작하였다.
15 그래서 그 고장 주민을 찾아가서 매달렸다. 그 주민은 그를 자기 소유의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다.
16 그는 돼지들이 먹는 열매 꼬투리로라도 배를 채우기를 간절히 바랐지만, 아무도 주지 않았다.
17 그제야 제정신이 든 그는 이렇게 말하였다. ‘내 아버지의 그 많은 품팔이꾼들은 먹을 것이 남아도는데, 나는 여기에서 굶어 죽는구나. 18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렇게 말씀드려야지.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19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저를 아버지의 품팔이꾼 가운데 하나로 삼아 주십시오.′’
20 그리하여 그는 일어나 아버지에게로 갔다. 그가 아직도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 아버지가 그를 보고 가엾은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달려가 아들의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추었다.
21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하였다.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22 그러나 아버지는 종들에게 일렀다. ‘어서 가장 좋은 옷을 가져다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발에 신발을 신겨 주어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아라. 먹고 즐기자.
24 나의 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도로 찾았다.’ 그리하여 그들은 즐거운 잔치를 벌이기 시작하였다.
25 그때에 큰아들은 들에 나가 있었다. 그가 집에 가까이 이르러 노래하며 춤추는 소리를 들었다.
26 그래서 하인 하나를 불러 무슨 일이냐고 묻자,
27 하인이 그에게 말하였다. ‘아우님이 오셨습니다. 아우님이 몸성히 돌아오셨다고 하여 아버님이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28 큰아들은 화가 나서 들어가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래서 아버지가 나와 그를 타이르자,
29 그가 아버지에게 대답하였다. ‘보십시오, 저는 여러 해 동안 종처럼 아버지를 섬기며 아버지의 명을 한 번도 어기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저에게 아버지는 친구들과 즐기라고 염소 한 마리 주신 적이 없습니다.
30 그런데 창녀들과 어울려 아버지의 가산을 들어먹은 저 아들이 오니까, 살진 송아지를 잡아 주시는군요.’
31 그러자 아버지가 그에게 일렀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다.
32 너의 저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다. 그러니 즐기고 기뻐해야 한다.’”


건강한 몸을 가지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매일 꾸준히 운동하면 됩니다.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알고 있지만, 모두 건강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알지만 실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루 1시간의 운동이 가능할까요? 불가능할까요? 그렇다면 인스턴트 음식을 피하는 것은 가능할까요? 불가능할까요?


모두 가능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마음만 먹으면’이라는 조건이 붙게 됩니다. ‘마음먹는다’를 뜻하는 단어는 ‘결심’입니다. 이 뜻은 ‘물길을 틔운다. 물길이 터진다’라는 의미의 결(決)과 ‘마음’을 나타내는 심(心)이 합쳐진 단어로, ‘마음의 물길을 바꾸는 일’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장 먼저 마음을 먹어야 했습니다. 그래야 행동과 실천이 뒤따라옵니다. 하지만 쉬우면 쉬울수록 마음먹는 것을 뒤로 미룹니다. 그래서 건강한 사람은 마음만 먹으면 쉽게 할 수 있다면서 뒤로 미루는 것입니다. 사실 건강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시는 분의 대부분은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건강을 잃고 나니 너무 많은 제약이 찾아오고,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신앙인도 그렇습니다. 하느님 나라에 가려면 하느님 뜻에 맞게 살면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 뜻은 사랑의 길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삶을 살면 됩니다. 어렵지 않아 보이기에 ‘마음만 먹으면’이라면서 뒤로 미루는 것입니다. 이 역시 죽음 앞에서 후회하게 만듭니다.


지금 당장 마음먹어야 합니다. 마음의 물길을 바꿔서 하느님께 향해야 합니다. 후회를 만들지 않는 삶이 가장 행복한 삶이 아닐까요?


사순 제4주일인 오늘 복음에서는 우리가 잘 아는 ‘잃어버린 아들’의 비유 말씀입니다. 사랑 넘치는 아버지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먼저 작은아들이 구속받지 않는 자유를 누리겠다며 나눠 받은 재산을 들고 고향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그의 결과는 배고픔과 모욕과 부끄러움이었습니다. 여기서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그냥 좌절하고 포기하며 절망의 길을 가는 것이고, 방향을 바꿔서 아버지께 향하는 희망의 길을 가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아버지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의 사랑 안에 머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큰아들은 재산을 탕진한 동생이 왔다고 잔치를 벌이는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집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는 자기는 옳고 동생은 틀렸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사랑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랑이 잘못되었다며 화를 내고 있었습니다. 그는 미움과 원망의 길을 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는 사랑의 길을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장 마음을 먹어야 합니다. 미움과 원망의 길이 아닌 사랑의 길을, 좌절하고 포기하는 절망의 길이 아닌 사랑의 하느님께 향하는 희망의 길을 가야 합니다. 이것이 하느님 아버지의 뜻인데, 과연 그 뜻을 따르고 있나요?


오늘의 명언: 부끄러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신채호).


 
사진설명: 잃어버린 아들

관련글 더보기